연구성과

제목 Uniqu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llopurinol-Induced Severe Cutaneous Adverse Reactions.
저자 Hye Jung Park, James Yun, Dong Yoon Kang, Jung-Won Park, Young-Il Koh, Sujeong Kim, Sae Hoon Kim, Young Hee Nam, Yi Yeong Jeong, Cheol-Woo Kim, Hye-Kyung Park, Sang Hyon Kim, Hye-Ryun Kang, Jae-Woo Jung, Drug Allergy Work Group of KAAACI
저널명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In Practice
년도 2019년
권/호/쪽 7:2739-2749.e2733.
파일 Uniqu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llopurinol-Induced Severe Cutaneous Adverse Reactions_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_In Practice.pdf (702 KB)
초록 Background: Allopurinol is the most common cause of severe cutaneous adverse reactions (SCARs) in Korea due to the relatively high prevalence of the HLA-B*58:01 genotype (8%-13%).
Objective: We aimed to reveal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death in allopurinol-induced SCARs in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06 subjects with allopurinol-induced SCARs and 639 subjects with other drug-induced SCARs who were enrolled in the Korean SCARs Registry (collected from 34 nationwide medical institution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5.
Results: Subjects with allopurinol-induced Stevens-Johnson syndrome (SJS)/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 were older and had more comorbidities, longer latent periods, longer disease durations, more deranged laboratory findings, and increased disease severity resulting in a higher mortality rate (17.6% vs 7.6%; P = .020) compared with the subjects with other drug-induced SC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or mortality in 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DRESS). Subjects with allopurinol-induced SJS/TEN were older and had shorter latent periods and a higher mortality rate (17.6% vs 3.7%; P = .044) than those with allopurinol-induced DRESS. In allopurinol-induced SJS/TEN,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ath included chronic renal insufficiency, intensive care unit (ICU) admission, increased blood urea nitrogen levels on admission day, serum peak eosinophil counts, baseline and peak creatinine levels, baseline and peak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and decreased lowest platelet counts. In allopurinol-induced DRES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ath included ICU admission and increased glucose levels on admission day.
Conclusions: Allopurinol-induced SCAR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and poor prognoses with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of death.
Keywords: Allopurinol; Drug reactions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Severe cutaneous adverse reaction; Stevens-Johnson syndrome; Toxic epidermal necrolysis.

배경: 알로푸리놀은 국내에서 중증피부유해반응(SCAR)의 가장 흔한 원인 약물이며, 이는 HLA-B*58:01 유전자형(8-13%)이 비교적 높은 빈도를 가지는 것에서 기인한다.
목표: 우리는 한국에서 알로푸리놀에 의한 SCAR의 임상적 특성과 사망 위험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전국 34개의 의료기관에서 수집한 알로푸리놀에 의해 SCAR가 발생한 106명의 환자와 기타 약물에 의해 유발된 SCAR 환자 639명에 대한 진료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알로푸리놀에 의해 발생한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JS)/독성표피괴사용해(TEN) 환자를 다른 약물에 의하여 유발된 SJS/TEN 환자와 비교하였을 때, 나이가 더 많았고, 동반된 기저질환이 더 많았으며, 잠복기와 유병 기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또한 진단검사 결과도 더 나빴고, 질병의 중증도도 증가되어 있었다. 결과적으로 알로푸리놀 유발 SJS/TEN에서 더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17.6% vs 7.6%; p=0.020). DRESS 증후군의 경우 연령 및 사망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알로푸리놀에 의한 SJS/TEN 환자는 알로푸리놀에 의한 DRESS 환자보다 나이가 더 많았고, 잠복기는 보다 짧게 나타났으며, 사망률이 더 높았다(17.6% vs 3.7%; p=0.044). 알로푸리놀에 의한 SJS/TEN 환자에서 사망의 주요 위험인자로 만성신부전증, 중환자실 입원, 입원 당일 혈액요소질소 수치의 증가, 혈청 최대 호산구 수, 기저 및 최대 크레아티닌 수치, 기저 및 최대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수치 및 최저 혈소판 수치의 감소를 포함하였다. 알로푸리놀 유발 DRESS 환자에서 사망의 주요 위험인자로 중환자실 입원, 입원 당일 혈중 포도당 수치의 증가가 포함되었다.
결론: 모든 알로푸리놀에 의해 유도된 SCARs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망과 관련된 예측 인자를 가질 경우 좋지 않은 예후를 가지고 있다.
키워드: 알로푸리놀; 호산구 증가와 전신반응을 동반한 약물 반응; 중증피부유해반응;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독성표피괴사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