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Hye Jung Park, Jung-Won Park, Sae Hoon Kim, So-Yun Choi, Hee-Kyoo Kim, Chang-Gyu Jung, Min-Suk Yang, Dong Yoon Kang, Min-Kyoung Cho, Hyouk-Soo Kwon, Hye-Ryun Kang, Yong Won Lee and Allergy Work Group of KAAAC
|
초록 |
Background: The human leukocyte antigen (HLA)-B*13:01 was reported a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dapsone hypersensitivity syndrome (DHS) in Chinese and Thai populations.
Research design and Methods: From the Korean nationwide registry, seven subjects with previous DHS were included. Their HLA allele/phenotype frequencies were compared with 8 dapsone-tolerant subjects recruited from a single institution, and general population (n = 485) in Korea. The authors also performed a meta-analysis with these data using previous Chinese and Thai studies.
Results: Among the seven DHS subjects, 85.7% presented with the HLA-B*13:01 allele. The HLA-C*03:04, HLA-DRB1*12:02 (both in linkage disequilibrium with HLA-B*13:01), and HLA-A*02:01 alleles were also presented in 85.7%, 71.4%, and 71.4%, respectively. Subjects with HLA-B*13:01 were susceptible to developing DHS compared to dapsone-tolerant controls (odds ratio [OR]: 73.667) and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OR: 139.500). HLA-C*03:04 (OR: 40.935), HLA-DRB*12:02 (OR: 36.613), and HLA-A*02:01 (OR: 5.862) showed similar results. In meta-analysis, HLA-B*13:01 was associated with dapsone-induced hypersensitivity (overall OR: 42.692), and subgroup analyses according to the control types demonstrated similar results (OR: 43.694 and 41.866, respectively).
Conclusions: Similar to previous Asian population studies, HLA-B*13:01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DHS in Korea. These associations may be useful for preventing DHS and improving drug.
배경: HLA-B*13:01은 중국인과 태국인에서 답손에 의한 과민반응 증후군(Dapsone hypersensitivity syndrome, DHS)의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연구 설계 및 방법: 한국인 SCAR 레지스트리에는 이전에 DHS를 경험하였던 7명의 환자들이 포함되었다. 이 7명의 환자들의 HLA의 대립유전자/표현형의 빈도를 단일 기관에서 모집한 답손에 과민반응을 유발되지 않은 8명과 한국인 485명의 일반집단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전의 중국 및 태국 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메타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7명의 DHS 환자에서 85.7%가 HLA-B*13:01 대립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HLA-C*03:04, HLA-DRB1*12:02 (이 두 가지 유전자형은 모두 HLA-B*13:01과 연관 불평형(Linkage disequilibrium) 상태에 있다.), 그리고 HLA-A*02:01 대립유전자는 각각 85.7%, 71.4%, 그리고 71.4% 빈도로 나타났다. HLA-B*13:01을 가진 사람은 답손 관용군과 비교했을 때 DHS 발생에 더 취약하였고(오즈비 73.667), 한국의 일반 인구 집단과 비교하면 오즈비 139.500로 더 높게 나타났다. HLA-C*03:04(오즈비 40.935), HLA-DRB*12:02(오즈비 36.613) 및 HLA-A*02:01(오즈비 5.862) 유전자형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메타분석에서는 HLA-B*13:01을 대립유전자로 가진 군에서는 DHS 발생에 대해 더 취약함을 나타내었다(전체 오즈비 42.692) 대조군 유형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각각 오즈비 43.694 및 41.866).
결론: 이전의 아시아 인구 연구와 마찬가지로, HLA-B*13:01 유전자형은 한국인에게서도 DHS 위험과 상당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러한 연관성은 DHS 예방 및 약물 개선에 유용할 수 있다.
|